본문 바로가기

상담가의 허브역할/ ② 미술치료

성격유형과 미술치료

 성격유형과 미술치료

 제1강

   1. 성격유형 및 성격심리학에 대한 개요

  1) 성격의 정의 및 개념의 필요성 

   - 성격은 모든 사람들이 다 정의하는 일반적인 개념

   - 심리학자들은 성격의  추상화된 모습, 즉 일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일반성이란  보편적 적용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 성격이란 개념은 개인행동의 일관성 (Consistency)나 연속성(Continuity)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

   - 성격이라는 개념을 통해 개인의 모든 행동양태가 본인내부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전달할수 있다.

 

  2) 성격의 정의 및 개념의 필요성

   - 성격의 개념을 통해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 성격이 외향적이라거나 내성적이라는 등의 표현이 위에 언급한 사실을 reflect한다.

   - 이러한 모든 것들을 종합하여 성격은 "한 개인의 독특한 행동과 사고 및 감정의 양상을 창조해내는 개인 내부의 심리.신체적 체계의 역동적인 조직"이라 정의될수도 있다.

   - 위 정의를 풀어보면 성격은 :

1. 성격은 단순한 축적이 아닌 조직

2. 능동적인 과정

3.심리적개념

4.원인적 힘

5.일관성

6.한 가지 방식이 아닌 다양한 방식의 행동, 사고로 표현됨

  3) 성격심리학의 기본쟁점

   - 성격을 말할 때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 개인차 (Individual Difference)의 존재, 즉 동일한 성격 유형으로 표현되었다 하더라도 개인별로 구체적인 행동은 다를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 다른 하나는 개인 내 기능 (Intrapersonal Functioning)이라 부르는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 개인차는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개념임에 비해 개인내 기능은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다.

   - 개인 내 기능은 상이한 상황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행동이 보여지더라도 연속성이 존재한다면 성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2. Wundt's vision on personality 성격심리학의 이론

  1) 이론의 구실, 평가

   - 이론은 그것에 관여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할수 있어야 하고, 사실인지 아닌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는 어떤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상적으로 성격을 설명하는 부분은 성격등을 정의하는 행동의 표현에 대한 생리학적, 정신분석적 원인을 인과관계를 통해 증명하는 것.

   - 가능성에 대한 제안은 특정 성격을 가진 한 개인의 행동 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너무나 논란이 많은 부분이라 학자들 사이에서도 이론이 분분하다.

 

  2) 이론의 구실, 평가

   - 어떠한 이론이 좋은 것인지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그 이론이 설명과 예측을 제대로 하는가이다.

   - 이론의 평가에서 중요한 부분은 그 이론이 기초하고 있는 정보의 폭이다 (치료경험에만 의지한다거나 실험실 상황에서 관찰에만 의지하는 것등).

   - 중요하지만 간과되어 왔던 부분은 이론의 경제성이다. 즉, 이론은 가능하면 단순해야 한다. 복잡한 이론일수록 적용되는 변인이 많아 실제적으로 모델을 예측하기에 더 어려움이 클 수도 있다.

   (1) 성격에 대한 관점

   - 성격을 좀 더 원초적으로 접근하면 인간의 본성과도 관계가 있기에 성격을 연구하는 여러 가지 관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 이론의 평가에서 중요한 부분은 그 이론이 기초하고 있는 정보의 폭이다 (치료경험에만 의지한다거나 실험실 상황에서 관찰에만 의지하는 것등).

   - 중요하지만 간과되어 왔던 부분은 이론의 경제성이다. 즉, 이론은 가능하면 단순해야 한다. 복잡한 이론일수록 적용되는 변인이 많아 실제적으로 모델을 예측하기에 더 어려움이 클 수도 있다.

   (2) 성격에 대한 관점

   - 성격에 대한 여러 이론을 종합하여 표현하는 것을 정향성 (orientation)혹은 관점 (perspectives)라고 표현하고 이러한 것들은 메타이론 (metatheory)와 별 차이를 가지지 않는다.

   - 본 강의에서는 7개의 관점 (그중 선택적으로)에 대하여 다룰것이다.

   - 성향적 (dispositional), 생물학적 (biological), 정신분석적 (psychoanalytic), 신정신분석적 (neoanalytic), 학습 (learning), 현상학적 (phenomenological), 인지적 자기조절 (self-regulation)등이 그것이다.

   (3) 성격에 대한 관점 

   - 앞에서 언급한 관점들은 분명히 다른 연구 방법이나 성격을 접근하는 다른 요소이다.

   - 하지만 이러한 관점들은 상호보완작용을 하여 하나의 불명확하고 불완전한 관점들을 보충해준다.

   - 생물학적 혹은 정신분석적 방법으로 성격을 설명하는 관점이 모든 영역의 성격설명을 대신할 수 없기에 이러한 부분들은 서로 상호적으로 보완함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준다.

   (4) 성격에 대한 관점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나 칼 구스타브 융 (Karl Gustav Jung)은 성격에 관한 거대이론을 정립하려 하였다

 

제2강

성격유형 연구 방법론

 1. 연구를 위한 정보수집 (1)

  - 관찰법 (정보원)

관찰자 스스로의 내적경험을 바탕으로 행동이나 성격을 관찰하여 그것을 데이터화하는 방법. 내성법 (Introspection)이라고 불린다.

내성법은 스스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에 다양한 형태의 관찰데이터가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관찰자의 경험이나 의식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객관성 부분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사실을 왜곡하여 전달할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타인관찰이라는 방법도 있지만  역시도 객관성을 절대적으로 담보하지는 못한다.

 

 2. 연구를 위한 정보수집 (2)

   * 사례연구 (Case Study)

 사람의 행동을 오랜시간 연구, 관찰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데이터화를 하고, 성격유형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관점

사례연구를 통해서 관심 있는 사람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생생한 묘사를 할 수 있음. 단편적인 에피소드 등이 전반적인 성격을 설명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의 관찰이 구체적인 성격유형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해법이 존재하지 않고, 개인별로 차이도 크다. , 어떤 개인은 짧은 기간의 관찰로도 성격유형 등이 판단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례도 많이 존재한다.

 

 3. 연구를 위한 정보수집 (3)

  * 일반성의 추구

사례연구는 아무리 완벽하게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

어떤 결론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기를 원할 경우 사례연구의 틀 안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적용을 원할 경우 그것은 일반성 (generality)혹은 일반화가능성 (generalization)이라고 표현된다.

일반화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은 여러 연령층과 다양한 삶의 분야, 실제로 모든 문화권의 사람들을 연구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주로 대학생들이라는 .homogene한 그룹을 주로 연구대상으로 삼아왔다.

일반화가능성은 일종의 연속체제의 개념인데, 어떤 연구도 모든 집단의 사람에게 일반화할 만큼 충분한 범위를 확보할 수는 없다.

 (1)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 모든 연구는 여러 가지 변인들이 존재하고 그 변인들의 상호관계를 잘 이해하여야 한다.

  (2)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 변인들의 상호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4)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따지는 것이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인데, 이 인과관계를 완벽하게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5)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 원인과 결과를 제한적이긴 하지만,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은 실험적인 방법 (experimental method)를 통해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이 부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변인들을 실험자가 통제하는 것인데, 이것을 독립변인 이라 부른다. 이 독립변인은 최소한 두개 이상의 수준이 존재하여야 한다.

  - 독립변인 이외에 다른 실험적 변수들을 줄이기 위하여 무선배당 (random assignment)를 통하여 우연히 결과가 돌출될 확률을 최소화한다.

  - 이 두 가지 요인들을 통제하여 원인과 결과를 추론할수 있도록 만드는 변인을 종속변인이라 부른다.

   (6)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7) 변인들 사이의 관계정립 

  - 중다요인를 통해서 관찰법, 실험법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1) 성격평가의 쟁점

  - 성격평가 뿐 아니라 모든 행동의 평가에서는 두 가지 요인이 가장 크게 고려되어야 한다.

  - 먼저 측정의 신뢰도 부분인데, 이는 몇 가지 작은 범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내적 일관성: 관찰자가 연속적으로 일관되게 데이터를 handling했는지에 대한 검증

평정자간 일치도: 여러 관찰자들의 공통점을 모음

시간에 따른 안정성: 첫 번째 검사와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검사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제를 고려해야 함

 

   (2) 성격평가의 쟁점

  - 측정의 타당도 부분도 몇 가지 작은 범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구성타당도 : 측정자의 구성개념을 정확히 반영하는 것

준거타당도 : 구성 타당도가 얼마나 외부적인 준거 (criterion)과 상관이 있는지 보여주는 것

수렴타당도 : 구성개념을 수렴 (convergence)하여 검증하는 부분

변별타당도 : 평가도구가 제대로 측정을 수행했는지 검증

안면타당도 : 측정도구가 외적으로 쉽게 의미를 확립할 수 있는 부분

문화와 타당도 : 문화적 차이에 따른 측정도구의 변화 고려

반응세트와 타당도의 상실

 

성격평가의 예시 (MMPI)

 

제3강

   1. 성격유형과 생물학

  1) 성격과 유전학, 행동유전학 

  (1) 특성인자의 유전

     ▶ 외형적인 모습과 더불어서 가족구성원등과 같이 유전적으로 가까운 사람들끼리 성격등과 같은 부분도 유사하게 전달될 확률

 

 

   (2) 쌍생아 연구

     성격, 행동과 유전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제일 보편적으로 진행된 연구 방법이다. 유사성의 차이에 근거를 둔다.

  2) 유전되는 성격적 특성??

   (1) 기질 : 활동성, 사회성, 정서성

     언급한 세 가지의 다양한 행동패턴을 기질로 보고,  기질이 얼마만큼 유전되는지 살펴본다.

 

  (2) 유전

 

  (3) 기질 및 다른 빅파이브 (5요인)

    언급한 세 가지의 기질 이외에도 유전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5가지의 성격요인은 정서성 (신경증, 혹은 정서적 불안정성), 외향성 (활동성을 포함한 사회성과 결합된 성격), 우호성 (사회성의 뉘앙스를 지니지만, 정확히 사회성으로부터 도출되었는지는 의문), 성실성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정향성), 개방성 (지성,교양, 지능) 이다.

  (4) 유전은 성격을 통해 이혼에 영향을 미치는 증거제시

  (5)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는 가 에도 영향을 줌

  (6) 일란성 쌍생아가 이란성 쌍생아보다 서로 같은 동성애자일 확률이 큼

  3) 환경적 영향

   (1) 앞에서 언급한 지능등과 같은 요인 등은 완벽히 유전적으로만 정의 될 수 없고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2) 사회적 특성 (시대정신이나 한 사회의 정치, 사회적 불안성)등도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3) 환경적 영향이 성격에 미치는 것은 주로 개인적 수준에서 이루어지기에 객관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사례를 뒷받침하여야 한다.

  4) 진화와 인간행동 

   (1) 특별히 준비한 다른 자료로 사회생물학 및 진화심리학을 살펴 본다.

   

 

  5) 진화와 인간행동  

 

2. 사회생물학 및 진화심리학

1) Contents

n 찰스 다윈과 진화이론

n What is evolution?

Classification and Phylogeny

자연선택과 적응 (Natural Selection and Adaptation)

n Sociobiology and Evolutionary Psychology

Sexual Selection as a key mechanism of the evolution of human behavior

 

2) A Pioneer

n Charles Darwin published his work "Origin of Art" in the year of 1859.

n Evolution as a basic principle for all living organisms.

3) Galápagos Islands

 

 

4) Galápagos Islands

 

 

5) Phylogeny

 

6) Phylogeny

 

7) Evidence of Evolution

 

 

8) Evidence of Evolution

 

 

       9) History of Earth

 

      10) History of Earth

 

 

 

      11) Fossil Records

 

 

     

 

 

 

 

 

    12) Natural Selection

 

    13) Sexual Selection

   

 

 

     

     15) Evolutionary Psychology

 

     16) Evolutionary Psychology

     

   

 

 

     17) Evolutionary Psychology

   

   18) Evolutionary Psychology

 

   

 

 

 

 

 

 

 

 

 

      19) Evolutionary Psychology

   

     20) Evolutionary Psychology

 

  21) Evolutionary Psychology

 

 

 

   

  14) Sexual Selection

 

 

 

       22) Evolutionary Psychology

     

      23) Evolutionary Psychology

     

   

 

 

 

 

 

 

 

      24) Evolutionary Psychology

     

     25) Evolutionary Psychology

    26) Evolutionary Psychology

 

    27) Evolutionary Psychology

 

 

제5강

1. 성격유형과 인지심리학

  1) 고전적 조건형성 

    (1) 고전적 조건형성

    학습의 기본이해는 한 가지 자극과  다른 자극이 연합됨으로서 새로운 반응이 획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고전적 조건형성이라 하며, 러시아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브에 의해 처음으로 정립되었다..

 

  (2) 고전적 조건형성 

 

  (3) 고전적 조건형성 

    고전적 조건형성에는 변별(discrimination) 일반화(generalization)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개념들은 정서적 자극에서도 동일하게 통용된다.

 

  1) 도구적 조건형성 

    (1) 도구적 조건형성

 

    고전적 조건형성이 수동적이라면 도구적 조건형성은 능동적이며, 그것을 정의하는 사건은 행동과 함께 시작된다.

     도구적조건형성은 피드백의 영향을 받으며, 결과에 따라 행동도 영향을 받는다 (효과의 법칙).

    (2) 도구적 조건형성

    강화는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와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가 있다. 처벌도 위에 언급한 정적 및 부적강화에 영향을 받아 처벌자체도 행동을 교정할수 있다.

    도구적 형성 조건에서는 변별자극에 따라 행동이 변화하며, 행동의 연속성이 일반화의 원리에 따르며, 이러한 원리들은 성격특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정의하는 사건은 행동과 함께 시작된다.

    도구적 형성조건에서 한때는 강화를 수반했던 행동이 이제 더 이상 강화를 수반하지 않을 때 소거가 일어난다. 행동은 강화물 없이 계속 행해짐에 따라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3) 도구적 조건형성 

    (4) 도구적 조건형성

    조건형성의 원리에서 중요하게 여겨져야 할 부분은 행동 강화가 꼭 합리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미신 등을 믿고 따르는 행동의 강화는 지극히 비합리적이만 조건형성의 원리에서 이루어진다.

    강화물은  어떤 특정한 행위를 앞으로 더 일어나기 쉽게 만든다는 생각이 가장 직관적이다. 하지만 장차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구체적인 행위가 아니라 행동의 어떤 특성인 것 같다.

 

   3) 성격의 평가

    성격특성의 평가는 크게 두 가지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생리학적 측면에서 즉, 정서반응에 대한 측정이다. 생리그래프라는 장치에 측정되는데, 이것은 피부저항, 심장박동, 동공의 확대정도를 측정함으로 정서 상태를 추정한다.

    다른 하나는 행동평가이다. 이는 설문지 등을 통해서 외적 행동에 대해 추론하고, 그것과 성격특성에 대한 평가를 종합적으로 한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성격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일반적이지만 꼭 정확하게 성격특성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4) 행동의 문제와 행동의 변화 

    (1) 행동의 문제와 행동의 변화

     정서반응의 고전적 조건형성

    (2) 행동의 문제와 행동의 변화 

   

 

 

(3) 행동의 문제와 행동의 변화 

    흡연, 음주, 부적절한 성적습관등을 멈추고자 할 경우 혐오치료등과 같은 방법을 써서 부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 자극과 함께 제시한다.

    이러한 부정적 반응에 기초한 무조건 자극은 억제되고 소거되어 질수 있지만 맥락단서에 따라 또 다시 나타날수 있다 (금연이 식사후에 어려운 이후)

    n  도구적 조건형성은 행동경향성이 강화를 통해 만들어진다는 개념이고 더 나아가 이것은 소거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획득될수 있다.

    강화의 불일치, 즉 강화와 처벌이 동일한 행동에 일어난다면 갈등이 일어난다.

 

   5) 조건형성과정에 대한 정교화

    (1) 조건형성과정에 대한 정교화

    사회적 강화는 (본인의 행동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것등) 자기강화의 개념이 사회적 강화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조건형성과정에 대한 정교화

    대리적 강화(vicarious reinforcement)는 타인의 강화나 처벌을 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강화로 삼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조건형성과정에 대한 정교화

    의미 일반화를 통해 어떤 자극이나 의미에 대해 일반적인 연상작용 (association)이 일어날수 있다.

    규칙에 기초한 학습이 한 번 발생하면 그것은 인간학습에 보편적 특징이 된다.

    행동의 결과를 기대하는 판단은 행동을 선택하는 데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피드백과는 다른 개념)

 

    6) 관찰학습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3-3.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1강.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2강.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3-1.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3-2.zi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3-4.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5-1.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5-2.hwp


첨부파일 성격유형과_미술치료_5-3.hwp



성격유형과 미술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