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상담소
운영목적
가정폭력상담소는 지역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가정폭력피해자를 보호함으로써 가정해체를 방지하고, 전문상담원을 통해 심리, 법률, 의료 등 상담을 비롯하여 가정폭력 피해자의 후유증을 최소화함으로 폭력 없는 '행복한 가정, 건강한 사회 만들기'를 목적으로 합니다.
가정폭력이란
가정 구성원(함께 살고 있는 가족이나, 혼인관계에 있었던 사람)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가정폭력이라 합니다. 가정폭력은 신체적인 폭력(학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폭력, 성적 학대, 경제적 학대와 방임 등을 포함합니다.
가정폭력의 실태와 특성
가정폭력은 대부분 결혼 초부터 시작되며 첫 번째 폭력발생 이후 장기적으로 시작된다. 1999년 연세대사회복지연구소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부부 10쌍중 3쌍은 가정폭력을 경험했다고 한다. 결혼 6개월 이내가 1/3가량, 결혼 전에도 23.5%가 구타를 경험한다. 조사에 의하면 주기적으로 월 1~4번 이상 : 30.5%, 주 1~6회 : 20%, 매일 맞는다가 20%나 되었다.
![black00_next.gif]()
폭력의 발달 특성
1) 상대방을 향해 물건을 던지는 행위
2) 상대방을 밀치거나 몸을 잡아 흔드는 행위
3) 뺨을 때리는 행위
4) 발이나 주먹으로 한 두 대 때리는 행위
5) 몽둥이 같은 물건으로 때리려 하거나 한 두 대 때리는 행위
6) 닥치는 대로 패는 행위
7) 칼 같은 흉기로 위협하는 행위
8) 칼 같은 흉기를 사용하는 행위
![black00_next.gif]()
폭력의 주기(*클릭하면 내용이 나오는 것으로 해 주세요)
1) 시작단계
집안의 사소하고 다양한 문제로 인해 긴장감을 형성하기 시작하여, 행동이 점차 공격적이된다.
2) 진행단계(긴장단계)
물리적 힘, 위협적 행동으로 인해 피해자는 가해자의 통제하에 있다는 느낌을 갖게된다. 가해자의 거친 언어적 표현으로 피해자를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킨다.
3) 폭발단계
심각한 격분으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 격한 감정이 폭발하게 된다. 이때 폭력이 수반된다
4) 변명단계
가해자는 수치심과 죄의식을 느끼며 자신의 한 행동을 부인하고 책임지지 않으려고 한다. 피해자에게 오히려 책임을 전가시키며 가해자를 화나게 해서 그랬다고 한다. 피해자는 맞을 만 했기 때문에 그런 것이며 가해자 스스로 통제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
5) 추종단계
가해자는 피해자가 멀어지려는 마음을 돌리게 하기 위해서 지나친 선물을 주거나 사랑의 표현을 하고 친밀하게 대하면서 다시는 그와 같은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한다. 그러면 피해자는 그의 말을 믿기로 하고 다시 그에게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만약 피해자가 가해자의 곁을 떠나려고 한다면 다시 협박과 폭력을 행사하고 때로는 경제적 측면 또는 아이들과 친척에게 위협을 주기도 한다. 이때 피해자는 두려움에 떨며 다시 돌아오게 된다. 가해자는 무력한 상태로 되면서 만일 돌아오지 않으면 살 수 없다고 한다. 많은 여성들이 가해자가 자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가해자 스스로 다시는 폭력을 하지 않겠다고 말한다.
6) 신혼단계
화해를 하게 되면 가해자와 피해자는 매우 친밀한 심리적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과거의 폭력으로 인한 고통과 어려움 등을 기억하지 않으려 한다. 가해자는 피해자의 욕구와 희망, 신념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가해자는 이제 스스로 변하였다고 말한다. 불행히도 폭력적 관계에서 그 주기는 반복적으로 찾아오게 된다.
사업내용
![black00_next.gif]()
24시간 상담전화(Tel. 032-541-1366)
- 내방(면접), 방문, 서신 상담 실시
- 인천 내일을 여는 집 홈페이지(www.homelesshot.or.kr)를 통해 상담을 받고 있다.
![black00_next.gif]()
가정폭력예방 교육
- 전문상담원 양성의 ‘가정폭력전문상담원 100시간 교육’
- 인천 지역 교회의 여신도회 등 교육 / 반상회 등을 통한 지역 여성 방문교육
- 청소년 가정폭력 및 성폭력 예방 교육 : 각 중고등학교로 출강
- 가정폭력전문상담원 심화교육
- 각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가정폭력전문상담원 자원봉사자 교육
![black00_next.gif]()
가정폭력예방 홍보 및 캠페인
- 마을신문, 구청신문 등을 통한 매주 2-3회 홍보
- 관공서 및 병원, 은행 등에 포스터 및 스티커 부착
- 가정폭력 및 건강한 사회를 가로막는 사건, 제도 등에 대한 캠페인 : 예) 호주제 폐지 캠페인
![black00_next.gif]()
저소득가정 방문상담
- 저소득가정의 경우 경제위기와 관련 장기실직, 알콜중독, 가정폭력 등의 문제로 급격한 가정해체현상을 겪고 있음에도 생활고를 해결하는 데 급급하거나 정보 접근성이 낮아 상담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본 상담소의 상담통로가 전화나 내방자의 상담에 그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상담에 재가복지의 개념을 도입
- 저소득가정을 돌보는 자원봉사자를 통해 가정폭력 사례를 발굴하고 저소득위기가정의 사례관리를 함.
![black00_next.gif]()
조사/연구 및 본 상담소에서 발행하는 각종 책자 발간
![black00_next.gif]()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로 연계
- 피해자의 심신의 안정을 도우며, 자활을 위한 계획 등을 도움.
![black00_next.gif]()
기타 : 의료지원 및 정보제공